[여의도 막전막후] 과거 총리 출신 정치인들, 대권 문턱에서 좌절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여의도 정치권의 모습을 전해드리는 여의도 막전막후 시간입니다.<br /><br />국회를 출입하고 있는 정치부 정영빈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주에는 어떤 뉴스를 준비했나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지난주 문재인 대통령이 정세균 전 국회의장을 신임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했습니다.<br /><br />정세균 후보자가 국회 표결을 거쳐 신임 국무총리에 임명되면 최장기간 총리 재임기록을 갈아치운 이낙연 국무총리는 민주당으로 돌아오게 되는데요.<br /><br />정치권에서는 전현직 총리가 될 2명을 유력한 대권후보로 거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기다 국무총리 출신인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는 야권의 유력한 대권후보인데요.<br /><br />그래서 이번 주에는 역대 총리들의 대권 도전사로 준비해봤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저도 지금 막 떠올려도 생각나는 인물들이 있는데 과거에도 대권에 도전한 국무총리들이 꽤 많이 있었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말씀하신 대로 재임시절에 언론과 대중의 큰 관심을 받으면서 대권주자로 떠오르는 국무총리들이 몇몇 있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번번이 대권 도전의 문턱 앞에서 좌절해야 했는데요.<br /><br />박정희 정권의 3공화국 이후 대통령 직선제에서 총리 출신으로 대권을 잡은 총리는 한명도 없습니다.<br /><br />다만 1979년 당시 박정희 대통령 서거로 대통령 권한대행이 된 최규하 총리가 10대 대통령에 올랐지만 유신체제 하에서 체육관 선거로 뽑힌 간선 대통령이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구체적으로 한번 살펴볼까요.<br /><br />일단 총리 출신으로 대통령 선거에 나섰던 인물들을 돌이켜 보면 가장 먼저 김종필 전 총리가 떠오르는데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맞습니다.<br /><br />3김 시대의 주역이었던 김종필 전 총리, 생전에 총리직을 2번이나 역임을 했습니다.<br /><br />첫 번째는 1971년에 박정희 정권 시절이었는데요.<br /><br />11대 국무총리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1975년까지 총리를 지냈는데 삼촌인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견제 속에서 대권을 넘봤습니다.<br /><br />서슬퍼렀던 전두환 정권 시절에는 호텔방을 전전하면서 옛 공화당 세력을 비밀리에 규합하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이후에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했고 이듬해 김대중, 김영삼 당시 후보와 함께 대선에 출마를 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아시다시피 선거 결과는 당시 노태우 대통령의 승리로 끝났죠.<br /><br />이후에 이 김 전 총리는 1990년에 3당 합당을 통해서 여권으로 옮겨오게 됩니다.<br /><br />29년도에는 대선에서 김영삼 당시 후보를 지원했고 김영삼 대통령이 당시 당선이 됐었죠.<br /><br />2인자로 자리매김을 했는데 민자당을 이끌던 당시 상황에서 민주당 내에서 민주계를 중심으로 해서 김종필 당시 대표가 구시대의 인물이다 이렇게 얘기하면서 김종필 당시 대표를 축출하려는 이런 움직임이 일어났었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김종필 당시 대표가 민자당을 탈당을 해서 자민련을 창당을 했는데요.<br /><br />아시다시피 자민련은 충청권에서 충청도 맹주로 떠오르면서 당시에 확고한 원내 교섭단체로서 자리를 잡은 상황이었습니다.<br /><br />1996년 총선에서 자민련이 50석을 얻었는데요.<br /><br />이 같은 어떤 지지도를 바탕으로 동력으로 삼아서 97년도 대선에도 김종필 전 총리가 도전을 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아시다시피 97년에는 김대중 당시 후보와 김종필 전 총리가 DJP 연합을 형성하면서 대선에서 승리를 했죠.<br /><br />그때 당시 김종필 후보가 김대중 당시 후보에게 자리를 양보하면서 또다시 킹메이커에 자리하게 됐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킹메이커라는 말이 참 뼈아프게 다가올 것 같은데 당시에 그러면서 김종필 후보가 오르면서 김종필 전 총리가 두 번째 총리직에 오르게 되는 겁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맞습니다.<br /><br />김대중 대통령이 당선이 도면서 국민회의와 자민련 공동 정권이 출범했죠.<br /><br />이때 김종필 총리가 두 번째 총리직에 오르게 됩니다.<br /><br />당시 김 전 총리의 발언을 한번 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 "저와 자민련은 공동 정권의 한 주체로서 산적한 국정 현안을 능동적으로 풀어나가는 데 국민 여러분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기 위해…"<br /><br />사실 이때가 김종필 전 총리의 정치적인 전성기였다, 이렇게 평가해도 과언이 아닐 텐데요.<br /><br />그렇지만 2000년 2월에 김대중 당시 대통령과 김종필 전 총리 사이에 어떤 정치적인 의견 대립이 심화되면서 DJP 연대가 깨지게 됩니다.<br /><br />이후에 김종필 총리의 정치적인 입지도 급격하게 악화하게 되는데요.<br /><br />특히 17대 총선에서는 김종필 전 총리가 노무현 대통령 탄핵에 가담을 했었는데 이 역풍을 맞게 되면서 17대 총선에서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이게 됩니다.<br /><br />당시 김 전 총리가 비례대표 1번으로 나섰는데 1번으로서도 낙선하는 수모를 겪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결국에 김 전 총리는 10선 고지에는 오르지 못하고 9선을 마지막으로 정계를 떠나면서 영원한 2인자로 남게 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김종필 전 총리에 이어 대통령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던 총리를 꼽으라면 이회창 전 총리가 빠질 수 없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말씀하신 대로 이회창 총리는 가장 대통령에 근접했던 총리였다 이런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법관 출신으로서 중앙선거관리위원장 시절에 엄격한 선거관리를 하면서 이른바 대쪽 이미지를 얻었는데요.<br /><br />김영삼 정부가 출범한 이후에는 감사원장에 임명이 됩니다.<br /><br />9개월 동안 감사원장을 지내면서 청와대 그리고 국방부에 대해서 메스를 들이대면서 어떤 감사원의 위상과 독립성을 크게 높였다 이런 평가를 받았습니다.<br /><br />이때 대쪽 이미지가 강하게 만들어졌는데요.<br /><br />이 같은 이미지를 바탕으로 해서 1993년도에 국무총리에 기용이 됐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통상적으로 이 국무총리는 대통령을 보좌하는 그런 역할을 하는 데 그쳤다는 것이 그때까지의 총리 이미지였는데 이회창 당시 총리는 소신 있는 행보를 보이면서 이른바 책임 총리의 모습을 보여줍니다.<br /><br />특히나 당시에 김영삼 전 대통령의 최측근에게도 굽힘이 없이 김영삼 대통령과 각을 세웠는데요.<br /><br />헌법에 보장된 총리의 권한을 적극적으로 행사하는 이런 모습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당연히 김영삼 대통령과 충돌이 있을 수밖에 없었는데, 결국에 취임한 지 넉 달 만에 김영삼 대통령과 갈등 끝에 국무총리 자리에서 물러나게 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현직 대통...